삼해소주 [三亥燒酒]
삼해주란
삼해주는 음력 정월 첫 돼지일(亥日) 해시(亥時)에 첫술을 담근 뒤, 돌아오는 돼지일(12일에서 36일 주기)마다
세 번 덧술을 쳐 저온에서 발효시키는 시양주(時釀酒) 입니다.
조선시대의 사대부 사이에서 널리 음용되던 서울의 대표적인 소주입니다.
삼해주의 특징
삼해주의 주 재료는 멥쌀과 찹쌀, 누룩, 물입니다.
맑은 약주를 만든 뒤 숙성시켜서 증류하면 약주 투입 양의 30% 정도만 얻을 수 있는 고급 소주가 되는데, 이것이 바로 삼해소주입니다.
삼해소주는 장기 저온발효, 숙성 과정을 거친 약주로 증류하기 때문에 풍미가 부드럽고, 뒷맛의 여운이 길며 첨가물이 일체 들어가지 않아 숙취가 없습니다.
옛 문헌에서의 삼해주
-영조 9년(1733)
형조판서 김동필(金東弼)이 "서울로 들어오는 쌀이 삼해주 만드는 데로 쏠려 들어가니 미곡정책상 이를 금함이 옳다"고 진언한 기록으로 보아서도 조선시대 널리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. 당시 서울에서는 일반인들의 삼해주 수요가 많아지자 정월에 빚어야 하는 계절적인 제한으로 그 수효가 한정되자 마포 공덕(孔德) 옹막이(甕幕)를 삼해주의 대량 제조공장으로 사용하였다 한다. 그 이유는 겨울에는 옹기를 굽지 않은 가마를 이용하여 음력 정월에 대량의 삼해주를 빚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. 조선시대 중엽 이후에는 소주의 술덧으로 쓰이기도 하였다.
-정조 18년(1794)
"술이란 물건은 금지하기가 매우 어렵다. 더구나 지금 기강이 무너지고 풍속이 퇴폐하였으니 비록 금령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어찌 어리석은 백성들이 조정의 명령을 금석처럼 믿으리라고 보장할 수 있겠는가. 또 더구나 삼해주(三亥酒)가 이미 다 익었으니 이제 와서 이미 다 빚어놓은 술을 공연히 버리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. 이는 바로 백성을 위하여 흉년을 구제하려는 뜻을 담고 있었다.
삼해주는 조선시대 술의 대명사라 할 수 있고, 20세기 초반까지 서울 마포에서 수백 수천 독을 빚어냈다고 하는 유일하게 상업화가 되었던 술입니다.
오랜 역사를 머금은 채 살아 숨쉬는 서울의 술입니다.